매년 7월이 되면 최저시급 논의를 하고 최저시급의 인상률과 금액을 결정합니다. 2021년 최저시급 논의한 결과 2022년의 최저시급이 결정되었습니다. 다행히 작년 인상률보다 많이 올랐습니다. 코로나 여파에도 불구하고 미국보다 최저임금이 높아졌습니다.
얼마나 인상되었는지 그리고 최저임금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논의를 하는지, 내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뭐가 달라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최저임금 결정방법
최저임금은 국가에서 보장하는 임금의 최저 수준을 말합니다. 노사가 함께 합의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결정하고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노동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2021년 최저시급은 8,720원이며 2020년 대비 1.5%가 인상되었습니다. 따라서 최저 월급(하루 8시간 일주일 5일 근무)은 1,822,480원입니다.
최저임금은 고용노동부 장관이 최저임금 심의를 요청하고(매년 3.31.)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리는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심의, 결정합니다. 이번 12일 노·사·공익위원회 전원이 참석하여 2021년 9차 전원회의를 열어 '2022년 적용 최저임금(안)'을 의결하였습니다.
2022년 최저시급
내년 2022년 적용 최저임금은 올해 최저임금에서 440원(5.1%)이 인상된 9,160원입니다.
월급은 1,914,440원으로 2021년 대비 91,960원 인상되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 근거로 경제성장률 4%+소비자물가상승률 1.8% - 취업자 증가률 0.7% 를 반영하였습니다. 이번 최저임금 인상에 영향을 받는 최저임금의 근로자는 768만 명에서 355만 명으로 추정되며 영향률은 4.7%에서 17.4%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노동자 측에선 10,000원(1,280원, 14.7%)인상안을 제시하였고, 사용자 측에선 8,850(130원, 1.49%) 인상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딱 중간 선인 9,16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노·사 양측의 간극을 좁히지 못했고 공익위원 단일안으로 표결하였습니다. 재적위원 27명 중 23명이 출석하고 10명이 기권하고 13명이 찬성하여 통과하였습니다.
연도별 최저임금 인상률
코로나의 영향과 2018년, 2019년 급격하게 최저임금을 인상한 탓에 2020년과 2021년의 최저임금 인상률은 실질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못할 만큼 낮았습니다. 하지만 백신 접종과 함께 경기가 회복될 기대감과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시점에서 5.1%의 인상은 적절한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최저임금은 주마다 다르지만 연방 계약직 근로자의 최저시급을 계산한다면 10.95달러, 한국돈으로 12,200원 수준입니다. 현재 미국은 구인란이 심각하여 내년 최저임금을 37% 인상한 15달러, 한국돈으로 16,70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라마다 빅맥지수가 있죠? 현재 우리나라의 빅맥지수는 5등으로 미국을 앞서고 있는것 같습니다. 제가 워킹홀리데이 다녀왔을무렵 호주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20불이었는데 인건비 비싼 나라인 만큼 빅맥을 3번 사 먹고도 돈이 남습니다.
2022년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휴수당 지급 조건
- 1주일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
-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일 모두 근무
-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평균 1회 유급휴일을 제공해야한다
직장에 취직을 해서 들어가게 되면 1주일 40시간을 근무하게 됩니다. 5일 8시간으로 총 40시간을 근무하게 되면 토요일, 일요일 둘 중 하루를 유급휴가를 줘야 합니다. 따라서 근무는 40시간을 했지만 48시간으로 급여가 책정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방법
일급 : 2022년 최저시급 9,160원 × 8시간 = 73,280원
주급 : 2022년 최저시급 9,160원 × 48시간 = 439,680원
월급 : 2022년 최저시급 9,160원 × 209시간 = 1,914,440원
* 월 근로시간은 주 5일 8시간 근무한 기준으로 209시간을 계산함
내년엔 모두 코로나에 해방되어 살기 좋은 세상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5차 재난지원금 대상, 금액, 지급시기, 지급방법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인하여 많은 국민이 피해를 보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선 5차 재난지원금의 대상과 금액을 확정 지었습니다. 소득이 많은 20%를 제외한 국민에게 지급한다는 재난지원금 국민
hanpun-dupun.tistory.com
2021년 삼성전자 배당금 정리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금액, 배당금지급일)
국민 주식인 삼성전자. 요즘 주가 흐름이 좋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1년에 분기별로 4번 배당하는 만큼 배당금을 위한 투자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곧 삼성전자 2분기 배당금 시기가 다가오
hanpun-dupun.tistory.com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 조회하는 방법
건강보험료가 기준이 되어 받을 수 있는 각종 지원금들이 많습니다. 5차 재난지원금을 포함하여 산후도우미, 난임시술 비용 지원, 기초생활수급 등 생각보다 많은 기준이 건강보험료가 되는 경
hanpun-dupun.tistory.com
댓글